<p></p><br /><br />뉴스분석 오늘의 에디터, 정치부 노은지 팀장입니다. 노 팀장, 오늘의 분석 키워드는 뭡니까? <br><br>오늘의 키워드 <정체 숨긴 성형탄> 입니다. <br><br>1. 채널A가 단독 취재한 내용, 실은 세미코크스로 신고 됐던 것이 성형탄이었다. 그런데 이건 어떻게 확인한 겁니까? <br> <br>= 러시아를 통해 국내로 들어오는 석탄 수입 과정에 정통한 한 관계자로부터 확인한 내용인데요, 지난해 10월 들어온 제품이 세관에 신고된 것과 달리 사실은 성형탄이라는 내용입니다. 관세청도 뒤늦게 이를 인정했습니다. <br><br>2. 다 좋은데 그 성형탄이 북한에서 흘러들어온 건 맞습니까? <br> <br>북한 외에 중국이나 인도네시아도 성형탄을 생산하긴 합니다. 그런데 중국산, 인도네시아산 성형탄을 들여올 거였다면 굳이 러시아 항구를 이용하고 세미코크스로 품목을 바꿔 신고할 이유는 없었겠죠. <br> <br>거기다 북한이 성형탄의 북한식 표현인 '알탄' 생산과정을 여러차례 소개하고 주요 수출품목으로 홍보했던 적도 있는데요, 영상으로 확인해보시죠. <br><br>[조선중앙tv]<br>무연알탄 생산기지는 원료 투하와 배양, 성형과 제품완성에 이르기까지 모든 공정이 흐름식으로 되어있고 <br><br>러시아가 성형탄이 아닌 세미코크스를 주로 생산하는 나라다보니 북한산임을 감추려고 러시아를 환적지로 두고 품목까지 바꿨다는 의심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><br>3. 반입된 게 지난 10월, 벌써 10개월이 지났습니다만 정부는 아직도 결론을 못 내고 있는데요. 어떤 이유가 있어서 발표가 지연되고 있는 겁니까, 아니면 조사 자체가 실제로 느린 겁니까? <br> <br>한국당은 정부가 문제를 인지하고도 묵인 또는 방치하고 있었다고 지적했는데 <br> <br>국회 찾은 외교부 조현 2차관은 우리나라의 조치에 대해 미국이 신뢰하고 있다고 적극 반박했습니다. 들어보시죠. <br><br>[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]<br>"문제는 알고도 밍기적거린건데.." <br><br>[조현 외교부 2차관]<br>"미국 정부도 최근 연합뉴스 특파원의 질의에 대해 (한국이 안보리 결의안을) 충실하게 이행하고 있다..." <br><br>어제 청와대도 미국이 우리를 신뢰하는데 우리 언론이 부정적인 보도를 한다고 불만을 나타냈었죠, 그 이후 당정청이 한 목소리로 정부 조치에 문제가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4. 노 기자 말대로 오늘 여당 홍영표 원내대표 역시 북한 석탄 논란 자체가 잘못됐다고 미국 국무부에서 논평으로 확인을 해 줬다고 했습니다. 사실입니까? <br><br>미 국무부 내에서도 결이 다른 말들이 나오고 있는데요, <br> <br>정부 여당이 언급한 미 국무부 논평에는 한국 정부를 신뢰한다는 표현이 등장하지만 국무부 관계자의 언론 인터뷰에는 대북제재 위반시 주저없이 독자제재를 가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이 담겨 있습니다. <br> <br>미국이 우리 정부를 신뢰한다는 표현을 쓰긴 했지만 조사 결과를 지켜보겠다는 원론적인 태도라고 볼 수 있는 대목이죠. <br> <br>거기다 미 하원 외교위원회 비확산 소위원장인 테드 포 공화당 의원은 석탄 밀반입에 한국 기업이 연루됐다면 세컨더리 보이콧을 해야 한다고 말히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세컨더리 보이콧 우려가 없다는 우리 정부의 상황 인식과 전혀 다른 기류입니다. <br> <br>앵커. 정치부 노은지 팀장이었습니다. <br>